경제 / / 2025. 3. 31. 18:59

경상남도 재난지원금, 1인당 30만원 지급!

최근 경상남도 산청군과 하동군 일대에서 발생한 대규모 산불로 인해 인명 피해와 막대한 산림·시설 손실이 발생했습니다. 이에 박완수 경남도지사는 피해 지역 주민들의 빠른 일상 복귀를 위해 1인당 30만원의 재난지원금을 포함한 신속하고 종합적인 지원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재난지원금부터 소상공인 및 농업인 지원, 산림 복구, 그리고 의료·주거 지원 등 경상남도의 전방위적 지원정책을 모두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그러므로 산불 피해를 입으신 경남 지역 주민분들은 이 글의 정보를 꼭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경상남도 재난지원금 섬네일

 

 

1. 경상남도 산불 피해 개요

  • 주요 피해 지역: 산청군 시천면·삼장면, 하동군 옥종면
  •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
  • 지원 대상 주민: 약 10,000명

 

2. 경상남도 재난지원금, 1인당 30만원 지급

 

박완수 경남도지사는 산불 발생 직후 산청군 시천면 산불통합지휘본부에서 긴급 브리핑을 열고, 피해 주민 1만여 명에게 1인당 30만 원의 긴급재난지원금을 지급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 지원금 총액: 30억원 (전액 도비)
  • 지원 방식: 현금 또는 지역화폐 형태 지급 예정

 

3. 생계유지가 어려운 가구 지원 정책

생계유지가 곤란한 가구에는 다음과 같은 실질적 지원이 병행됩니다.

  • 정부 긴급복지지원과 경남도의 희망지원금을 통해 생계비, 의료비, 주거비, 난방비 등 차등 지원
  • 기탁 성금 활용 방안: 피해자들을 위해 접수된 기부금은 선지급 가능성을 두고 모금기관과 협의 중

 

✅ 일반적인 긴급복지지원 기준을 다소 초과한 가구에 대해서도, 긴급지원 심의위원회를 통해 적극적으로 지원할 예정입니다.

 

4. 심리·의료 지원: 재난 후 트라우마까지 돌본다

경상남도는 단순 물질적 피해 지원을 넘어 심리적 회복에도 집중하고 있습니다.

  • 현장응급의료소 운영: 부상자 응급 처치 및 환자 모니터링
  • 재난심리서비스: 심리 상담, 정신건강 치료 지원
  • 마음안심버스 운영: 대피소 해제 이후에도 마을 단위 방문 심리지원 지속

 

5. 주택 피해자에게 임시 조립주택 및 장기 주거 안정 대책 제공

주택 피해 가구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주거 지원이 제공됩니다:

  • 단기 대책:
    • 한국선비문화연구원과 협력해 임시조립주택 설치
  • 장기 대책:
    • 정부 주거비 지원
    • 추가 융자 이차보전 등으로 안정적 주거 환경 확보

 

6. 소상공인 지원 정책

산불로 타격을 입은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다음과 같은 대책이 시행됩니다:

  • 산청·하동지역 소상공인에게 100억원 규모 긴급 경영안정자금 융자 지원
  • 지역사랑상품권 총 469억 원 규모 확대 발행

 

7. 농업인 맞춤형 지원: 융자 + 시설 복구 + 가축 지원

농가 피해 회복을 위한 다각적인 정책도 시행됩니다.

  • 농어촌진흥기금 저리융자
    • 개인: 5,000만원
    • 법인: 3억원
  • 대출 상환 유예 및 이자 감면
  • 농업 직접 피해 복구
    • 농약대, 대파대(농작물 다시 심는 비용)
    • 가축 입식비
    • 농업 시설물 복구 등
  • 정부와 협력해 병행 추진

 

8. 산림 복구 및 2차 피해 방지 대책

경상남도는 산림 피해 복구에도 즉각 나섰습니다.

  • 긴급 진단 및 피해목 벌채
  • 지자체 및 관계기관 합동 조사로 복구계획 수립
  • 지역별 생태환경에 맞는 연차별 조림 복원 계획 추진
  • 산사태 등 2차 재난 방지 위한 선제 조치

 

9. 산불 재확산 방지: 24시간 감시 체계 구축

현재도 산불 재발 우려가 높은 만큼, 경남도는 24시간 산불 대응 시스템을 가동 중입니다.

  • 진화 인력: 공무원, 소방대, 공중·특수진화대 등 약 350명
  • 장비 투입:
    • 헬기 40대
    • 진화차 79대
    • 열화상 드론으로 실시간 산불 감시

 

10. 법 제도 개선 및 '국립 산불방지센터' 추진

박완수 도지사는 산불 대응 체계의 제도 개선과 함께 중장기 대응 인프라 구축을 강조했습니다.

  • 민간 헬기 사전 승인 없이 즉시 투입 가능하도록 제도 개선 필요
  • 국립 남부권 산불방지센터 설립 추진
    • 지리산 인접 지역 특성을 반영한 산불 대응 거점

 

11. 마무리하며

이번 산불로 인해 공무원과 산불진화대원 등 4명의 소중한 생명이 희생되고, 1,858헥타르의 산림과 80여 곳의 시설이 소실되는 등 막대한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상남도는 피해 주민들의 생활 안정과 지역 회복을 위한 전방위적 지원을 빠르게 실행에 옮기며 모범적인 대응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보다 실질적이고 체계적인 지원이 지속되어, 산불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경남 지역 주민분들께서 하루빨리 일상을 되찾으시길 진심으로 바랍니다.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